KT-Aivle School (AI)/클라우드 6

[클라우드] k8s 컨테이너 배포, 통신, 볼륨 관리

Chapter 6.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Kubernetes Object • 가장 기본적인 구성단위 • 상태를 관리하는 역할 • 가장 기본적인 오브젝트 – Pod, Service, Volume, Namespace • 오브젝트의 Spec, Status 필드 – Spec : 정의된 상태 – Status : 현재 상태 Kubernetes Controller • 클러스터의 상태를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에 오브젝트를 생성, 변경을 요청하는 역할 • 각 컨트롤러는 현재 상태를 정의된 상태에 가깝게 유지하려는 특징 • 컨트롤러 유형 : – Deployment, Replicaset, Daemonset, Job, CronJob 등 Controller Cycle Auto Healing Update & Rollback Job..

[클라우드] K8S 개요 및 주요 아키텍처

+)선 요약 하나의 OS에서 컨테이너를 여러 개를 만들어 관리하는데 최적화하는 것이 도커. 하지만 머신이 여러 개(=클러스터 환경)일 때, 전체적인 컨테이너 관리가 필요. (지휘자가 필요해짐) (전체 워커노드의 스케쥴링) 이러한 거대한 역할을 하는 것을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이를 위한 도구가 필요함 (특히, 구글과 같은 글로벌 IT기업에서 이것이 필요 구글이 쿠버네티스를 개발 쿠버네티스는 전체 클라우드 클러스터를 마스터와 워커노드로 나누어 마스터가 워커노드를 지휘 워커노드는 마스터에게 지시를 받아야 하므로(Kubelet이 존재) 인터넷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Kube-Proxy)가 존재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담당 결과적으로 머신에서 컨테이너를 배포하고 관리하는 런타임인 ‘도커’가 들어가고 도커 속에..

[클라우드] AWS 고가용성 구현 (Region, AZ, ELB, ASG)

Chaper 3. AWS 고가용성 구현 가용성 • 서비스 가용성이라고도 표현 • 워크로드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 고가용성 • High Availability • 높은 가용성 • 지속적으로 구현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는 성질 • 장애 또는 고장이 나더라도 복구를 해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 Region / Availability Zone • AWS 는 Region 과 Availability Zone 으로 이루어져 있음 Region • 전 세계에서 데이터센터를 클러스터링하는 물리적 위치 • 어떤 지역으로 서비스하느냐에 따라 지리적으로 가까운 Region 선택 Region Code • Region 구분 Code 존재 (ex. us-east-1, ap-northeast-2 ) • AWS ..

[클라우드] AWS 기본 서비스

Chapter 2. AWS 기본 서비스 (EC2, VPC, EBS, S3) EC2 서비스 • Amazon EC2: 가상 서버 서비스 Amazon EC2 (Elastic Compute Cloud) 폭 넓은 컴퓨팅 인스턴스 타입 제공 Elastic GPUs On EC2 *인스턴스 읽는 법 EC2 Security Gruop • 보안그룹 규칙 – Name – Description – Protocol – Port range – IP address, IP range, Security Group name • 특징 – In/Out bound 지정 가능 – 모든 인터넷 프로토콜 지원 – 인스턴스 동작 중에도 규칙 변경 가능 계층적인 보안그룹 • IP Range 대신 어느 SG로부터의 트래픽을 허용할지 지정가능 • 계층적..

[클라우드] 가상화 및 클라우드

Chapter 1. 가상화 및 클라우드 개요 기존 환경의 문제점들 원인 • 극도의 복잡성 • 빈약한 인프라에 의존 결과 • 70% 이상의 IT 예산이 현상유지에 사용 • 30% 이하의 IT 예산만이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용 IT 경쟁력이 곧 사업 경쟁력 ➔ 가상화 기술을 통해 해결 가능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데스크톱) 물리적인 서버의 대수가 감 가상화 가상화 물리적인 컴포넌트를 논리적인 객체로 추상화하는 것 -> 하나의 장치를 여러 개처럼 동작 or 여러 개의 장치를 묶어 하나처럼 가상화 대상: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대부분 서버는 용량의 10~15% 수준 사용 가상화를 통해 한 대의 컴퓨터에 동시에 여러 개의 OS 가동하여 태스크 분산 -> 사용률 70% 상향 가능 2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