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2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데이터 중심 조식이 되기 위한 조건과 사고력1)

기초 사고력이 탄탄해야 문제해결이 가능하다. 1. 한계적 사고력 한계적 사고력? 한계적 사고력: 마지막 하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 결정한다. 새로운 의사결정을 만날 때마다 편익과 비용을 따져가면서 결정한다. 한계적 사고에 기반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이유 -> 잘게 나누어서 여러번 판단하는 것이 좋음 신제품은 출시하는 것이 아니라 업데이트 하는 것 분석의 완성도보다 시의적절한 의사결정이 중요 분석 도중에 중간 결론이 기존 가설을 무력시키거나 전혀 몰랐던 데이터를 발견하게 될 가능성 존재 데이터가 주어지는 빈도와 속도에 맞게 답을 더듬듯이 찾아가는 분석의 유연성에 기여 2. 가설/비판적 사고력 가설적 사고? 지금 알고 있는 정보를 가설로 상정(현재 가능성이 제일 높은 결론) 가설을 마지막 분석지로 의식..

데이터 기반 소통 1 (데이터로 심금을 울려라)

읽지 않아도 읽히게 그려야 한다. 1. 논리력을 기반으로 한 표현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문제 해결자 데이터 분석의 목적은 설득과 문제 해결. 상대방 잘 설득하기 위한 방법 1) 데이터 시각화 역량 시각과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 -> 질문력 데이터 DB에 던지는 질문이 시각화 되는 내용을 결정하기 때문 2) 데이터 표현 역량 데이터 표현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 -> 논리력 위 두 데이터는 하고 싶은 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데이터 값이 가지고 있는 실제의 사실성을 왜곡 위 데이터 차트에서 잘못된 점은? 문제의 지점은 X축이 사실성을 왜곡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것 36%부터 차트가 시작되기 때문에, 실제 두 후보의 지지율 차이 대비, 왜곡된 이해를 불러올 수 있음 위 데이터는 데이터 표현관점에서 어떤..